'CentOS7'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19.08.26 CentOS 7 Minimal 설치 및 초기 설정
  2. 2019.07.23 GCP CentOS7 디스크 추가 하기
  3. 2019.07.22 CentOS7 & MariaDB 설치
반응형

centos 7 버전을 서버에 설치 및 초기 네트워크 설정 작업을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우선 centos project 홈페이지에서 iso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일반 버전이 아닌 minimal 버전을 다운받습니다.

 

vm 또는 실제 서버에 해당 이미지를 물려주시고 부팅합니다.

 

이제 설치를 시작합니다.

 

"Install CentOS 7"을 선택해 주세요.

 

설치가 진행되는동안 기다리시면 GUI화면으로 설치화면이 나옵니다.

 

한국어를 선택해 주세요.

 

설치요약에서 잠시 기다리시면 아이콘들이 활성화가 되면서 설치내역을 표시합니다.

경고표시가 나오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내용을 기입니다.

 

경고를 모두 해결하면 "설치 시작"이 활성화 되고 눌러서 설치를 진행 합니다.

 

 

설치가 진행되는동안 root 비민번호와 사용자 정보를 생성해 줍니다.

저는 it라는 계정을 생성하겠습니다.

일반 계정으로 사용할 예정임으로 관리자 권한은 주지 않았습니다.

 

root비밀번호와 일반계정 생성을 완료 후 잠시 기다리시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재부팅을 합니다.

root 로 접속하여 정상 로그인이 되느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로써 centos7을 설치 완료 했습니다.

이제 외부에서 접속하여 작업할수 있도록 ip 설정과 방화벽 설정을 해주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기본 ip정보를 살펴봅니다.

ip addr

저는 DHCP를 이용하지 않고 특정 ip를 설정하고자 합니다.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XXX

위 파일을 수정합니다.

 

DHCP를 사용할 경우 ONBOOT=YES로 변경해 줍니다.

저는 60번 ip를 사용하고자 고정 ip를 넣어 줍니다.

 

IPADDR, PREFIX, GATEWAY를 입력후 저장합니다.

 

sudo systemctl restart network
sydo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네트워크를 재실행 합니다.

 

개발용을 사용할 VM임으로 저는 방화벽을 내리고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sudo systemctl stop firewalld
sudo systemctl disable firewalld

재시작 후 다시 방화벽이 활성화 되지 않도록 disable처리 합니다.

 

이제 설치와 서버를 외부에서 접속하여 설정할수 있도록 기초설정이 완료 되었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투명강아지
,
반응형

GCP에서  CentOS7을 사용할 경우 디스트를 추가하여도 자동으로 적용 되지 않는다

디스트를 수동으로 마운트 해준다.

 

파티션 및 디스크 현황 확인

sudo lsblk

 

현재 sba디스크가 sba1으로 파티션 되어 있고 root가 사용중임.

추가로 sdb, sdc디스크를 마운트 해주려고 한다.

 

우선 디스크를 포멧 한다.

sudo mkfs.ext4 -m 0 -F -E lazy_itable_init=0,lazy_journal_init=0,discard /dev/[DEVICE_ID]

DEVICE_ID는 sdb, sdc이다.

 

 

마운트를 하기 위해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 저는 root에 생성하였습니다.

cd /
sudo mkdir -p databse data

database : 데이터 베이스 영역

data : 첨부파일 등 각종 파일 영역

 

마운트 해줍니다.

 

sudo mount -o discard,defaults /dev/sdb /database
sudo mount -o discard,defaults /dev/sdc /data

 

각각의 폴더에 마운트 되었습니다.

 

 

-------- 추가사항 --------

 

인스턴스가 재실행 될 경우 마운트가 해제됩니다.

재시작 이후에도 자동으로 마운트를 해주어야 합니다.

 

1. 자동설정의 내용을 백업합니다.

sudo cp /etc/fstab /etc/fstab.backup

 

디스크의 UUID를 확인 합니다.

sudo blkid /dev/[DEVICE_ID]

출력 : /dev/[DEVICE_ID] UUID="[UUID]" TYPE="ext4"

 

  • [DEVICE_ID]는 자동으로 마운트하려는 영구 디스크의 기기 ID입니다. 디스크에 파티션 테이블을 만드는 경우, 마운트하려는 파티션을 지정합니다.
  • [UUID_VALUE]는 /etc/fstab 파일에 포함시켜야 하는 영구 디스크의 UUID입니다.

 

자동으로 마운트할 내용을 설정 합니다.

sudo vi /etc/fstab

아래 항목 입력

 

UUID=[UUID_VALUE] /mnt/disks/[MNT_DIR] ext4 discard,defaults,[NOFAIL_OPTION] 0 2

 

또는

 

echo UUID=`sudo blkid -s UUID -o value /dev/sdb` /database ext4 discard,defaults,nofail 0 2 | sudo tee -a /etc/fstab
echo UUID=`sudo blkid -s UUID -o value /dev/sdc` /data ext4 discard,defaults,nofail 0 2 | sudo tee -a /etc/fstab

 

마지막으로 정상적으로 설정된 내역이 있는지 확인

cat /etc/fstab

 

완료!

반응형
Posted by 투명강아지
,

CentOS7 & MariaDB 설치

IT/DB 2019. 7. 22. 15:08
반응형

MariaDB 설치

 

1. repository 설정 파일 생성

sudo vi /etc/yum.repos.d/mariadb.repo

 

 - MariaDB 10.1 Ver.

mariadb.repo에 입력

[mariadb]
name = MariaDB
baseurl = http://yum.mariadb.org/10.1/centos7-amd64
gpgkey=https://yum.mariadb.org/RPM-GPG-KEY-MariaDB
gpgcheck=1

 

2. MariaDB Install

sudo yum install MariaDB-server

 

3. MariaDB 초기 설정

sudo systemctl start mariadb

sudo mysql_secure_installation

Enter current password for root? enter

Switch to unix_socket authentication? enter

Change the root password? y

 - root 비밀번호 입력

Remove anonymous users? y

 - 테스트용 계정 삭제

Disallow root login remotely? y

 - root 외부 접속 허용? (개발단계라 오픈, 프로젝트 오픈시 제한)

Remove test database and access to it? y

 - 테스트용 데이터 베이스 삭제

Reload privilege tables now? y

 - 설정을 바로 적용

 

 - Thanks for using MariaDB!

초기 설정 완료!

 

4. 부팅시 DB자동 실행 설정

sudo systemctl enable mariadb

 

5. MariaDB 세부 설정

 - UTF-8 설정

sudo vi /etc/my.cnf.d/server.cnf

 

[mysqld] 아래에 아래 항목 추가

character-set-server=utf8mb4
collation-server=utf8mb4_bin

 

 - Auto Commit 설정

MariaDB는 기본적으로 AutoCommit이 True임으로 Fasle로 설정을 변경해 준다

 

[mysqld] 아래에 아래 항목 추가

autocommit=0

 

 

최종 설정 적용

sudo systemctl restart mariadb
반응형

'IT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iaDB 시간 설정  (0) 2019.07.29
CentOS7 & MariaDB 데이터 베이스 저장공간 변경  (0) 2019.07.25
maria DB index 생성  (0) 2019.07.13
mariaDB 계정 생성 및 database 접근권한 설정  (0) 2019.07.10
ms-sql backup & restore  (0) 2019.07.08
Posted by 투명강아지
,